
무라카미 하루키가 스타작가 반열에 오르게 한 작품이다.
이 소설이 소개된 이후로 하루키 열풍이라 할만큼 많은 그의 작품들이
쏟아져 나왔으며 꾸준히 독자들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 작가라 할 수 있다.
이 소설은 서른일곱의 화자 '나'가 대학시절을 회상하는 이야기다.
이야기는 젊은 시절 '나'가 한없이 나락으로 떨어졌던 상실과 아픔이
밑바닥까지 느껴졌던.. 원초적 고독을 이야기 해주고 있다.
'나'는 고교 2학년때 유일한 친구 '기즈키'가 차안에서 자살을 하는 사건을 맞는다.
죽음을 가까운 현실로 느꼈을 '나'는 걷잡을 수없는 고독과 슬픔에 휩싸인다.
스무살 전후의 주인공이 겪게 되는 시대적 환경과 가정환경.
그리고 친구로 부터 겪게되는 심리적 갈등이 뛰어나게 묘사되어 있다.
우선 이책의 주인공들은 모두가 고독해보인다.
주인공 와타나베는 고독을 즐기는 편이고 그 주변 인물들도 모두가
자기만의 세계에 갇혀서 살아간다.
물론 그러한 배경엔 마음속의 깊은 상처들 때문에..
그 아픔으로 인해 쉽게 세상과 마주 하지 못하는 면도 있다.
하지만 언젠가는 더 성숙한 모습이 되어 나타났었을 수는 없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이책의 서문에서 작가는 말한다.
자기는 이책에서 사람이 사람을 사랑하는 것의
진정한 의미에 대해서 얘기하고 싶었다고..
이소설은 누구나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해서 책장을 덮을땐
결코 가벼워지지 않는 무게를 주는 책이다.
누구나 살아가면서 특히 젊은 날에 한번쯤 상실의 아픔을 겪는다.
상실의 대상은 단지 사랑만은 아닐 것이다.
범위는 광범위하고, 불시에 찾아오기 때문에 인간을 불안하게 만들것이다.
하지만 달리보면 아픔은 그렇게 어둡지만은 않을지도 모른다.
아픔이라는 감정은 '사랑'이라는 감정을 전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인가를 용기있게 사랑할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축복이다.
그래서 아파할 수 있다는 것 만으로도 축복이다.
살아가면서 상실의 아픔을 겪을 때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정직하게 아파하는 것이다.
우물에 빠져을때 한 번 쯤이라도 바닥끝까지 내려가 보는 것이다.
지나친 낙관주의인지는 모르겠지만, 그 바닥끝에는 절대적인 상실과
아픔만이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상실의 아픔을 통해 인간은 조금씩 성장해 나가기 때문이다.
수만년에 걸쳐서 인간이 진화해 왔듯이, 인간의 정신도 수많은 아픔을
통해서 조금씩 성장해 나가는 것이다.
정직하게 그리워하는 것도 능력이다.
덧글
사실 상실의 시대는 개인적으로 이해하기가 좀 힘들었던걸로 기억해요.
.....'위대한 개츠비를 3번읽은 사람이라면 친구가 될수있지'
.....'하지만 쥐는 연애를 하지않아요!'
.....'나 얼만큼 좋아해?'.......'봄날의 곰만큼'[...]
반복학습의 산물임에도 불구하고...이상한것들만 기억에 남는군요 .....(털썩)
김정수님//'살아가면서 상실의 아픔을 겪을 때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정직하게 아파하는 것이다.
우물에 빠져을때 한 번 쯤이라도 바닥끝까지 내려가 보는 것이다. 지나친 낙관주의인지는 모르겠지만, 그 바닥끝에는 절대적인 상실과 아픔만이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상실의 아픔을 통해 인간은 조금씩 성장해 나가기 때문이다.
수만년에 걸쳐서 인간이 진화해 왔듯이, 인간의 정신도 수많은 아픔을 통해서 조금씩 성장해 나가는 것이다." 너무나 감동적인 구절이네요^^ 퍼가도 되겠죠?
이렇듯 책의 소개를 보게되면..늘 봐야지 봐야지 맘만먹구..
결국은 만화책만 보게 되는 저랍니다...ㅡ ㅡ;
'죽음은 삶의 대극으로서가 아니라, 삶의 일부로서 존재하고 있다.' 라는 말이었습니다. (최근에 다시 읽은적이 없어서 표현이 약간 틀릴지도 모르겠습니다만...-_-a)
쥔장님 관련글은 감사히 받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