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승우 'OLD' 삽화 中
2019년은 개인적으로 조직의 직책에서 물러나 온건히 나로써 사회적 테스트를 받게되는 해가 될 것 같습니다.
요즘은 문득문득 사원에서 이사라는 직위에 오르기까지 수많았던 일들이 파노라마처럼 떠오르곤 합니다.
그럴때면 나도 모르게 뭉클한 기분에 휩싸여 내 주변의 사물들과 사람들을 새삼스레 바라보게 되는군요.
사람은 떠날 때를 알아야 한다고 합니다.
어떤 계기가 있어서 결정하기보다 스스로 떠날 시기를 깨닫고 다음 세대에게 그 자리를 넘겨줘야 합니다.
저는 그 시기가 올 결산까지라고 생각을 했고, 가족들과 상의를 끝낸 뒤 회사에도 얘기를 잘 마쳤습니다.
한 일년 더 할 체력도 있고, 회사도 당황스러워 하지만 서로 조금 아쉬움이 남아 있을때 헤어져야
다시 만나도 반갑지 않겠습니까.
사실 무엇을 하겠다는 생각까지는 해보지 않았습니다.
제가 두 가지를 한꺼번에 못하는 성격이라 준비한 것은 없지만, 남편과 내가 머리를 맞대고 지혜를 합치면
못할 게 없다는 자신감은 충만합니다.
하지만 대략적인 계획은 세워 뒀습니다.
그동안 대충 때우기 식으로 치료를 받았던 남편과 저의 건강을 시간 제약 없이 마음 편하게 재체크하고
새로 시작할 수 있는 체력으로 정비하려고 합니다.
아마도 그동안 회사와 사회에 함몰되어 생긴 습관의 병들을 털어내기까지 몇 달이 걸리지 않을까 생각이 들어요.
그때까지는 한가로움을 신나게 즐길 겁니다.
50십이란 나이대는 인생에 있어서 삶이라는 기준으로 봤을때 가장 완숙되는 기간이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부모님과의 마지막 여정을 함께할 준비를 자연스럽게 하게 되고, 더불어 자신의 건강도 되돌아 보게 되니까요.
본인은 느려지는데, 세상은 너무나 빠르게 변화되는 것을 무기력하게 지켜보게 되는 나이기도 하겠지요.
4차 산업혁명 시대인 우리 자식들의 세대에서는 어떻게 멋지게 펼쳐질지 저는 정말 기대됩니다.
사람의 인생을 90세로 본다면 크게 세 등분으로 나눈다고 합니다.
30세까지는 부모님의 도움으로 자립을 준비하는 시기.
60세까지는 스스로의 능력과 노력으로 사회에서 삶을 다지는 시기.
이제 남은 30세는 인생을 즐기고 자신을 사랑하는 시기라 하겠지요.
그리고 남은 30년을 또 세분화 하면 10-10-10 으로 나뉜다고 합니다.
10년은 부부가 서로 건강한 시기.
10년은 부부 중 한 명이 아프거나 죽는 시기.
남은 10년은 홀로 투병가며 죽음을 맞이하는 시기라고 해요.
이제 저는 그 첫 발을 띠는 기분입니다.
미래는 예측할 수 없기에 매력적이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예측할 수 없기에 계획을 하게 되고, 계획이 트러지더라도 당황하지 않는 여유를 갖고 싶습니다.
2019년이 끝날 때쯤에 어떤 소감이 생길지 저도 사실 많이 궁금해 집니다.
덧글